어드민, 크리에이터 대시보드, 템플릿 위자드의 유지 보수 및 주요 프로젝트 마일스톤 관리로 필요한 기능의 우선 순위 정립과 해야하는 일을 분리함
내부 개발팀 멤버 및 디자이너 팀, 마케팅 팀 등 다른 멤버들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어드민 대시보드의 주요 기능들 개선 및 추가
어드민 대시보드의 권한 기능 제안 및 도입으로 팀원의 작업 사항 분리가 되어 새로운 팀원의 온보딩과 관련 부서의 작업에서 보안 및 사용성이 개선됨
두 개의 대시보드 내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Angular 컴포넌트, 서비스, 유틸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여 중복되는 코드 제거
어드민 대시보드 내 리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백엔드 필터 기능에 기반한 프론트엔드 공용 필터 기능 제작으로 새로운 기능 리스트가 추가될 시 빠른 시간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구축하여 협업시 개발의 용이성과 내부 팀원들의 기능 필요성을 충족
어드민 대시보드 내 쉐이커 API (Id, Secret) 생성 기능 프론트엔드 제작
외부 디자이너의 수입 지급을 위한 시스템을 어드민 대시보드와 크리에이터 대시보드에 적용하여 관련 팀원의 작업 편의성과 디자이너의 편의성 개선
쉐이커 플랫폼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팀의 비디오 템플릿 관리를 위한 프론트엔드 제작으로 기존에 분리된 크리에이터 대시보드에서만 관리 가능했던 비디오 템플릿을 플랫폼 내에서 관리할 수 있게되어 편의성과 접근성이 개선됨
애프터 이펙트 파일을 분석하는 팀원과 협업하여 기존 애프터 이펙트 파일 내에서 플러그인으로 사용되던 템플릿 위자드를 Redux를 활용하여 웹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하였고 이후 어드민 대시보드, 크리에이터 대시보드, 쉐이커 플랫폼에 탑재로 사용성과 작업 분리에 따른 사용자 및 팀원 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됨
Docusaurus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Shakr Developers 제작
AngularJS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던 어드민 대시보드와 크리에이터 대시보드를 Angular 구조로 마이그레이션 작업
어드민 대시보드와 크리에이터 대시보드 내 비디오 템플릿 버전 관리 기능에 대한 개선 사항 적용으로 디자이너의 서비스 이해도 (버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줄어들어 진입 장벽이 낮아져 접근성이 개선됨
StoriesAds의 프론트엔드 개발 리드 역할을 담당
Punchcard 제작으로 병역 출퇴관리 입증
비디오 제작에 사용되는 사용자 팀 애셋 관리를 위한 파일 관리 시스템 프론트엔드 구현으로 팀의 중복 파일 사용 및 업로드 시간이 단축되어 파일 서버의 관리와 비디오 제작시 시간이 줄어들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짐
비디오 제작에 사용되는 외부 스톡 이미지 검색 및 사용을 위해 GraphQL 컨셉으로 구현된 백엔드 API를 활용하여 무한 스크롤 기능을 포함한 프론트엔드 구현 이후 내부 팀원의 QA, 외부 사용자들의 접근시 테스트의 진입 장벽이 낮아져 사용성과 접근성이 개선됨